카테고리 없음

일자리 채움 청년지원금 자세히보기(2024)

박원박 2024. 3. 15. 09:26
반응형

'일자리 채움 청년지원금'은 제조업 등에 취업한 청년에게 입직 초기부터 회사에 빠르게 적응하고 장기간 근무할 수 있도록 임금을 지원하며, 동시에 인력 부족 문제를 겪고 있는 중소기업에게는 고용의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입니다. 청년 취업자와 중소기업 모두에게 이득이 되는 정책으로, 최대 20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일자리 채움 청년지원금 자세히보기(2024)

 

 

2024년 일자리 채움 청년지원금 혜택 및 신청 자격 2024년 '일자리 채움 청년지원금'은 취업 청년과 중소기업 모두에게 큰 지원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. 이 지원금을 통해 청년들은 안정적으로 직장에 적응하고 장기 근속을 목표로 할 수 있으며, 중소기업은 인력난 해소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. 

 

혜택 내용

정규직 취업 청년 혜택: 근로자 계좌로 3개월 차에 100만 원, 추가로 6개월 차에 100만 원이 직접 지급됩니다. 총 최대 200만 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으며, 예산 소진 시 선착순으로 신청이 마감됩니다.

 

지원 대상

지원 자격 조건: 만 15세~34세 청년이며, 제조업종 우선지원 대상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사람입니다. 근무 기간은 취업 후 3개월 이상, 주 30시간 이상 근무해야 합니다. 취업 기간 2023년 10월 1일부터 2024년 9월 30일 사이여야 합니다. 군 복무 경력이 있는 경우, 신청 가능 연령이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.

 

 

☞「일자리 채움 청년지원금」 신청하기 바로가기☜

 

 

일자리 채움 청년지원금

지원대상

-23.10.1~24.9.30 기갖중 제조업 등 빈일자리 중소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으로 3개월 이상 근속

 

지원방식

-청년 근로자의 참여신청에 따른 선착순 접수 - 청년 근로자의 고용보험 이력 등 확인 후 지원금 지급

 

지원요건

-제조업 등 빈일자리 업종의 고용보험 피보험자수 5인 이상 중소기업

-정규직으로 취업후 3개월 이상 근속, 고용보험 가입, 주 30시간 이상 근로.

 

지원수준

-취업 후 3개월 차 100만원, 6개월차 100만원 지원 (최대200만원)

 

신청절차

-고용24 홈페이지에서 청년이 운영기관을 선택하여 직접 참여신청 (근로계약서 등 첨부)

 

 

 

 

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취업 지원제도

일자리 안정지원금

  • 목적: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소상공인 및 영세중소기업의 경영 부담을 완화하고, 노동자의 고용 불안정을 해소하기 위함입니다.
  • 대상: 30인 미만의 노동자를 고용하는 모든 사업(주) 대상으로 지원합니다.

 

일자리채움지원금

  • 목적: 제조업 등 특정 업종에 취업한 청년이 입사 초기부터 회사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, 청년의 안정적인 일자리 확보와 중소기업의 인력 난 해소를 돕습니다.
  • 대상: 제조업 등에 취업한 청년을 대상으로 합니다.

 

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

  • 목적: 기업이 청년을 우선적으로 채용하고, 채용한 청년이 안정적으로 직장에 정착할 수 있도록 도와서 청년 고용을 활성화하고자 합니다.
  • 대상: 5인 이상 우선지원 대상 기업에서 취업 애로 청년을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한 경우 지원합니다. 

 

 

▶ 일자리 안정자금

일자리 채용정보 자세히보기

일자리 안정지원금

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

 

 

 

청년 희망내일채움공제

  • 청년과 중소·중견기업 간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를 위해, 청년의 장기 근속을 유도하고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. ▶자세히알아보기

 

청년내일채움공제

  • 청년이 중소·중견기업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, 일정 기간 근속 시 정부와 기업, 개인이 함께 조성한 자금을 지급합니다. ▶자세히알아보기

 

구직촉진수당 및 조기취업성공수당

  • 청년 구직자에게 구직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수당 및 조기에 취업을 성공할 경우 추가적인 성공 수당을 지급하는 제도로, 청년의 취업 준비와 안정적인 사회 진입을 돕습니다. ▶자세히알아보기

 

 

반응형